<마인크래프트 공략>/[완]일렉트리컬 에이지
-
[일렉트리컬에이지] 9. 고급 기계들<마인크래프트 공략>/[완]일렉트리컬 에이지 2015. 2. 23. 09:34
일렉트리컬 에이지 고급 기계들 전기적 발전기 어느정도 되었고 전기도 충분이 있겠다 이제 자동으로 광물을 캐고 고도기술인 텔레포트도 해봐야겠죠. 고급 기계를 소개합니다. 오토마이너(Auto Miner) 오토마이너는 일렉트리컬 에이지의 자동 광물채취 기계입니다. 빌드크래프트 쿼리처럼 엄청나게 사기적이진 않지만 겨우 1칸을 뚫고 파내는 산업의 마이너보다는 좋죠. 처음엔 1칸씩 파내려가고 약 10칸정도 판 뒤부턴 십자모양으로 파내려 가는데 중간에 광맥이 걸리면 범위 밖이라도 캐내는 재주가 있는 녀석입니다. 800V정도에 1KW수준의 전기가 필요합니다. 오토마이너의 GUI는 이렇게 심플하게 생겼습니다. 하나는 드릴칸 하나는 파이프칸이죠. 오토마이너에 사용되는 드릴은 총 3종이 있는데 좋을수록 속도가 빠릅니다. 그..
-
[일렉트리컬에이지] 8. 기본적인 기계들<마인크래프트 공략>/[완]일렉트리컬 에이지 2015. 2. 18. 10:11
일렉트리컬 에이지 기본적인 기계들 기술모드엔 모름지기 기계가 있어야 하는 법. 일렉트리컬 에이지에는 적지만 몇가지 기계가 있습니다. 그중 가장 기본적인 기계 몇 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 화로(Electrical Furnace) 어디에선 전기를 생산해서 하이테크의 기술력을 뽐내면서 정작 화로는 아직도 석탄을 때는 방식이면 앞뒤가 안맞습니다. 전기가 있다면 전기화로가 있어야죠. 이 전기화로는 다들 아시겠지만 석탄을 소모하지 않고 오로지 전기로만 돌아갑니다. 사용 가능한 레시피는 원래의 화로와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GUI를 열어보면 조금 복잡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요, 살펴보도록 합시다. 일단 셧다운 방식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오토와 매뉴얼. 오토는 말그대로 자동으로 하는 것이고 메뉴열은 직접 온오프..
-
[일렉트리컬에이지] 7. 친환경 에너지<마인크래프트 공략>/[완]일렉트리컬 에이지 2015. 2. 17. 11:48
일렉트리컬 에이지 친환경 에너지 전기의 발전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비교적 값이 싸지만 환경오염 등 문제가 있는 비친환경 발전과 비싸지만 오염의 문제가 덜한 친환경 발전이죠. 저번편에선 값싸고 간편하면서 어디서든 사용 가능한 발전 방식을 알아봤지만 이번엔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형 태양 전지판(Small Solar Panel) 모두들 잘 알법한 태양전지판 입니다. 철과 전선, 그리고 실리콘이 필요한데 실리콘은 일렉트리컬 에이지의 분쇄기(Macerator)로 모래를 갈아보면 가루가 나오고 그 가루를 구워 주괴를 만든 뒤 다시 일렉트리컬 에이지 모드의 플레이트 머신(Plate Machine)으로 주괴 4개를 판으로 눌러 제작하게 됩니다. 처음부터 쓸수가 없는 ..
-
[일렉트리컬에이지] 6. 열로 에너지 생산하기<마인크래프트 공략>/[완]일렉트리컬 에이지 2015. 2. 15. 16:28
일렉트리컬 에이지 열로 에너지 생산하기 저번편에서 에너지 저장소를 알아봤습니다. 이제는 저장할 에너지를 만들 차례이죠. 이번편에선 그 발전방식중 가장 기초적인 방식인 열발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준비물들을 살펴보죠. 석재 열화로(Stone Heat Furnace) 석탄이나 목탄 또는 다른 연료를 소비해 열을 발생기키는 화로로서 열발전의 가장 중요한 부부인 열을 담당합니다. 50V 터빈(50V Turbine) 열화로에서 생산된 열을 빨간 부분으로 받고 반대쪽 파란부분은 열배출기를 통해 냉각된 부분이여야 합니다. 만약 차갑기만 하면 아무 일도 안일어나고 뜨겁기만 하면 펑 터져버리니 조심! 소형 수동적 열배출기(Small Passive Thermal Dissipater) 열 배출장치중 가장 초반에 만..
-
[일렉트리컬에이지] 5. 에너지 저장소 배터리<마인크래프트 공략>/[완]일렉트리컬 에이지 2015. 2. 14. 16:30
일렉트리컬 에이지 에너지 저장소 배터리 예 안녕하세요! 여러분 엔티멉니다. 저번에 일렉트리컬 에이지 어렵다고 징징대는 글을 올린적이 있긴 한데 제작자가 만든 공식 튜토리얼 맵이 있었다는걸 잊고 있었어요;; 내가 이런걸 놓치다니… 뭐 이제라도 나왔으니 좀 수월하게 할 듯 합니다. 뭐 이 이야기는 이쯤 하고 왜 배터리가 발전기보다 먼저냐?? 나쁠건 없잖아요? 그냥 봐주세요. 개인적으로 이게 더 편해서 그렇습니다. 자 그럼 시작!! 일단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이런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바닥에 받침판이 있고 위에 배터리가 얹혀있는 구조이며 양쪽엔 빨,검정의 전선이 나와있습니다. 빨강쪽은 포지티브 핀(Positive Pin), 검정은 네거티브 핀(Negative Pin)입니다. 포지티브 쪽은 빨강 +표시, 네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