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공략>/[완]마인켐
-
[물질분석보고서] 4주기 원소 (원자번호 19~36)<마인크래프트 공략>/[완]마인켐 2015. 8. 11. 14:19
마인켐 물질분석 보고서 4주기 원소 분석 원자번호 19번 칼륨(Potassium) 안정함, 알칼리금속, 고체 마인크래프트 바닐라에서는 익힌 닭이나 감자에서 얻을수 있다.(감자에서는 확률적으로 나온다) 화약을 분해해 얻는 Potassium Nitrate를 다시 분해해 칼륨을 얻는것도 가능하다. 폴리툴 효과는 없다. 원자번호 20번 칼슘(Calcium) 안정함, 금속, 고체 바닐라에서 바로 얻는 방법은 없다. 핵반응을 통해 얻어야 하는 원소. 규소 업그레이드를 한 폴리툴로 스켈레톤을 때려잡아 Hydroxy apatite를 얻어서 분해하면 칼슘이 나오긴 한다. 그 밖에도 엔더진주를 분해해 Calcium Carbonata를 얻어 다시 분해해 얻는 방법도 있다. 폴리툴에 적용시 "추가 뼈 획득"효과를 부여한다. ..
-
[물질분석보고서] 3주기 원소 (원자번호 11~18)<마인크래프트 공략>/[완]마인켐 2015. 8. 9. 17:15
마인켐 물질분석 보고서 3주기 원소 분석 원자번호 11번 나트륨(소듐, Sodium) 안정한 원소, 알칼리금속, 고체상태 익힌 닭고기에서 얻을수 있는 원소. 소금을 추가하는 모드가 있다면 거기서 얻은 소금을 분해해 얻을수 있을지도? 익힌 닭고기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소금도 만들수 있지만 바닐라에선 그걸 쓸곳이 없다는게 문제. 폴리툴에 적용시 "광질중 자동 횟불 설치"기능을 추가한다. 특이점은 이 횟불은 인벤토리의 횟불 유무와는 무관하다. 무한히 횟불을 얻는 셈. 원자번호 12번 마그네슘(Magnesium) 안정한 원소, 금속 원소, 고체상태 마인켐에서 돌을 분해하면 온갖 원소가 확률적으로 등장하는데(돌에서조차 안나오는 녀석도 있긴 하다) 거기서 나올수 있는 원소. 사실상 화합물을 제외하고는 만들것이 없다..
-
[마인켐] 4. 방사성 물질<마인크래프트 공략>/[완]마인켐 2015. 8. 6. 18:05
주기율표를 보면 원소가 참 많습니다. 흔한 원소도 있고, 희귀한 원소도 있고, 많이 쓰이는 원소, 잘 안쓰이는 원소, 금속, 비금속 등 다양합니다. 문제는 이러한 구분법 중 방사성과 비방사성이 있다는 거죠. 방사성 물질은 현실이나 마인켐에서나 가만히 내버려둘수 없는 물질입니다. 들어가기 전 방사성 원소들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려드리자면 43번 테크네튬, 61번 프로메튬과 83번 비스무트부터 그 뒤로 쭉 방사성입니다.(43, 61, 83~) 일단 모두에게 가장 익숙할 방사성 원소 우라늄입니다. 보면 맨 위쪽에 Hardly Radioactive라 되어있습니다. 거의 방사성이 없단 소리죠. 그래도 Radioactive가 붙었다는건 일단 있긴 있다는겁니다. 그 옆에 괄호 안을 보면 4Hr(시간) 45M(분) 9..
-
[마인켐] 3. 핵분열, 핵융합<마인크래프트 공략>/[완]마인켐 2015. 8. 3. 19:53
마인켐이 불필요한 물건을 분해해 필요한 물건을 만든다는 아주 어마어마한 특징을 지녔지만 문제는 모든 물질이 잘 구해지지는 않는다는 거죠. 필요원소 부족현상을 해결하려면 '멀티블록'과 'RF'만 있으면 해결됩니다. 먼저 필요한 것은 블루프린트 프로젝터(Blueprint Projector)입니다. 그리고 원하는 멀티블록 구조물의 설계도(Blueprint)가 필요하죠. 프로젝터를 열어 설계도를 넣어 주면 필요한 재료의 양과 함께 반투명한 블록이 생성됩니다. 이 반투명 블록들은 바로 '여기다 이 블록 설치해라'라는 뜻이죠. 커서를 가져다대고 설치하면 그 자리에 알아서 잘 들어갑니다. 참고로 말하자면 반투명 블록 자리에 다른 블록은 설치가 안됩니다. 한 층을 완성하면 다음 층의 설계도가 나타납니다. 계속 설치하세..
-
[마인켐] 2. 만능도구 폴리툴<마인크래프트 공략>/[완]마인켐 2015. 7. 29. 17:38
안녕하세요, 마인켐 물질분석 보고서를 보면서 폴리툴이 뭔지 모르지만 계속 언급되서 궁금하신 분들이 좀 있어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 알아가면 되겠네요. 일단 폴리툴이 뭐하는 도구냐? 간단히 말하자면 무기, 곡괭이, 삽, 도끼의 역할을 하는 만능 도구입니다. 생김새는 마치 물갈퀴만 지워버린 개구리 발바닥처럼 생겼습니다. 이런 도구는 퀵슬롯의 자리를 확 늘려준다는 점에서부터 사용할 이유가 생기죠. 근데 이 폴리툴의 재료가 뭐냐면.. 탄소 나노튜브 256개입니다. 그리고 탄소 나노튜브는.. 다이아를 분해하거나,(왜 다이아에서 나노튜브가 나오는지는 마인켐 개발자에게 문의하세요) 탄소로 만들거나.. 근데 개수가 참 많이 들긴 하죠. 결론적으로 탄소 65,536개를 가지고 폴리툴 1개 만드는 셈. 비쌉니다. 일단 이..